SW-MOOC(개방형 온라인 SW교육과정 운영)
- D-MOOC
- 지역주민을 위한 온라인 SW교육 제공
- 단단한(DAN: Daily, Accessible, Necessary) MOOC를 목표로 본교 자체 :D-MOOC을 통해
SW교육과정을 운영함
Daily MOOC
-단축된 SW 지식 주기와 급변하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적응 하기 위해 MOOC를 통해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강의 제공 -사회적 이슈와 미래지향적 평생학습 사회 추이 분석 |
Accessible MOOC
- 모바일 환경 등 다양한 매체환경에 최적화된 D-MOOC 시스템 구축 - Learning Analytics(학습분석학)을 통해 학습자 Big-data 분석 |
Necessary MOOC
- 강의 개발 전 수요자(학습자)needs 파악, 강의 종료 후 만족도 조사 - 일반교양, 전문지식 등 산업체 관계자, 지역주민 누구나 평생학습자로서 선택 가능한 폭넓은 강의 개발 |
- 신규 콘텐츠 개발
- 지역사회의 필요를 반영한 전략적 신규 콘텐츠 개발: SW중심대학사업 미참여대학 학생, 유학생, 자율학기제, 경력단절여성, 재취업, 미취업 청년 대상
개방형 온라인 SW교육과정 수요 분석
- 산업계 SW교육 수요분석, 지역사회 SW교육 수요분석을 통해 참여업체 및 지역사회로의 SW중심대학의 교육 수혜자 범위 확산 요구를 확인
- 온라인 SW교육수요를 (1) SW전문성제고, (2) SW기초능력습득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
분석결과
⟱
요구집단 | 대상 | 교육요구 |
SW기초 능력 습득 |
비참여대학 학생 | SW중심대학 사업참여대학의 우수 강의 수강을 통한 SW 기초 능력 및 전문성 제고 |
중·고등학생 | 창의체험활동 및 자유학기제 연계 활동 | |
경력단절여성 | SW관련 진로 및 직업소개 | |
SW전문성 제고 |
재취업, 미취업청년 | SW전문성 개발 및 역량강화를 통한 업계취업 |
유학생 | SW 전문분야 강의의 번역 서비스 |
- 2020년 운영 중인 강좌
단계 | 과목명 | 개발년도 | 대상 | 구분 |
1단계: SW중심 대학사업 확산 |
디자인씽킹을 통한 통찰훈련 | 2017 | 초중고 | K-MOOC |
R데이터 분석 입문 | 2018 | 대학생 | K-MOOC | |
IT생활과 기술 | 2017 | 일반인 | :D-MOOC | |
컴퓨터구조 및 모바일프로세서 | 2018 | 대학생 | :D-MOOC | |
컴퓨터과학자처럼 생각하기 | 2018 | 초중고 | :D-MOOC | |
2단계: 지역사회 공생 | 블록체인기술과 비즈니스 전략 | 2018 | 대학생 | :D-MOOC |
웹프로그래밍 | 2019 | 대학생 | :D-MOOC | |
4차산업혁명과 현대기술 | 2019 | 일반인 | :D-MOOC | |
창의적사고와코딩 | 2020 | 초중고 | :D-MOOC | |
시큐어코딩 | 2020 | 대학생 | :D-MOOC | |
기계학습과 인공신경망 | 2020 | 대학생 | :D-MOOC | |
SW융합코딩 | 2020 | 대학생 | :D-MOOC | |
파이썬프로그래밍 | 2020 | 대학생 | :D-MOOC |
- 2020년 운영 중인 강좌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